자연과 공생하는 브랜드? ESG 보고서 제대로 읽는 법 6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측면에서 쓴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 잘 읽는 법.

THE REMARKABLE RISE OF ‘ESG REPORT‘

이제 ‘ESG 경영 보고서’는 기업 투자의 핵심 지표인 재무제표만큼 중요해졌다.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라고도 하는 이 보고서는 기업의 경영 활동에 있어 친환경 활동, 사회적 책임(CSR) 등을 어떤 방식으로 경영 전략에 반영해 이행하는지를 설명한다. 투자 측면에서 이 보고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는 기업이 사회, 환경, 주주 환원 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재무적 성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남양유업 불매 사태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현재 국내에서는 보고서 발간 및 공시의 의무는 없다. 하지만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에 상장된 대기업 다수는 이미 1년에 한 번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탄소중립 등 기후 위기 대응에 대한 기업의 역할이 중요시되며 생긴 움직임이다. 보고서 작성을 제도화할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금융위원회가 2021년 1월 발표한 보고서 관련 로드맵에 따르면, 2025년부터 자산 총액 2조원 이상의 코스피 상장사의 경우, 보고서 작성이 의무화될 예정이다. 유럽연합(EU), 미국, 싱가포르 등의 국가에서는 이미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를 의무적으로 발간, 공시하고 있다. 보고서는 DART 기업공시, KIND 기업공시 혹은 기업 홈페이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THINGS TO THINK 

보고서는 크게 세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 작성된다.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가 그것이다. 보고서는 읽는 이의 필요에 따라 특성이 달라진다. 환경친화적 소비자에게는 환경보호 활동 보고서가 될 수도, 개인정보 보호 등에 관심 높은 이에게는 사회적 책임 이행 보고서가 될 수도 있다. 기업의 구조 탐색을 원하면 지배구조 카테고리를 유심히 살피면 된다. 보고서를 읽기 전, 사내 ESG 협의회 등의 단체가 구성돼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보고서를 읽는 동안은 각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 추진 전략 이행 현황과 목표 달성치, 성과 지표를 잘 살펴야 한다.

3 SAFE ENVIRONMENT

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자연과 공생하려는 기업의 노력은 다양한 환경 인증과 정량적 수치, 정부 정책 이행 등으로 세세히 드러난다. 방대한 양의 보고서를 읽기 전에 다양한 환경 협약과 인증을 미리 공부할 것. 반드시 알아야 할 대표 협약과 인증에는 RE100 캠페인, 탄소중립(Net-Zero), RSPO(지속가능 팜유 산업 협력체) 인증, ISO 인증 등이 있다. 하지만 환경 인증만으로 기업 활동을 평가하고 신뢰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종류가 워낙 다양하고 이름도 유사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업이 재료 소싱, 하청업체 계약, 공장 설비 운영 등 다양한 제조 및 영업 과정에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고 있는지도 꼼꼼히 확인해보자. 정량적 데이터도 하나의 기준을 세워 여러 기업을 비교·평가해야 객관적 판단이 가능하다.

4 EQUAL SOCIETY

환경과 지배구조를 제외한 모든 분야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노사관계, 사내 복지, 다양성 및 포용성 정책, 정규직 비중, 임금 체계, 직무 평가, 안전 규범, 고객만족, 사회 환원 방식 등 다양한 기준이 적용된다. 사회 카테고리 속 소주제는 기업의 산업군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건설업이나 제조업은 산업 재해에 대해 임직원을 얼마나 보호하고 있는지, 사후 보상과 사전 예방은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각종 개인정보를 다루는 금융업이나 인터넷 기업의 보고서라면,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관리 측면을 더욱 자세히 읽어보자.

5 SUSTAINABLE GOVERNANCE

한국 대기업의 지배구조는 대부분 전문 경영인 체제가 아닌 세습제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기업의 지배구조 카테고리는 각별히 신경 써서 읽어야 한다. 이사회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지, 임원진이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지, 임원의 보수가 너무 과하지는 않은지, 대주주와 소액 주주의 권리 균등이 이뤄지고 있는지, 배당 정책이나 자사주 관리 등 주주 환원 정책은 잘 마련되어 있는지, 주주와 기업 간 소통은 원활한지 등을 꼼꼼히 살피자.

6 FACT-CHECKING

감사를 통해 객관적 평가를 받는 재무제표와 달리,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는 기업이 직접 발간 및 공시를 진행하기 때문에 다소 긍정적 내용만 담겨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일정 수준 이상의 ‘팩트 체크’가 반드시 필요하다. 모든 내용을 있는 그대로 흡수할 필요도 없다. 기업이 내세운 지속가능 타임라인을 제대로 지키는지, 하나의 흐름으로 일관성 있게 진행되는지를 꾸준히 팔로업하는 것이 좋다. 

에디터
이재윤
디자이너
나유진

SNS 공유하기